깃헙 저학년 때 잠깐 사용해 본 적이 있었다. 하지만 그땐 영상이나 블로그들을 보면서 무조건 익혀야 된다고 보고 무작정 사용하였다. 처음이다 보니 뭐가 뭔지도 모르고 무엇보다 프로젝트 경험이 없어서 깃헙이 왜 필요한지를 이해 제대로 못했던 것 같다. 그러다 1학년 여름 방학 때 프로젝트를 해야 해서 깃헙으로 하면 코드 공유나 협업하기 좋다는 게 생각이 나서 사용하려 했으나,, 결국 실패하고 이메일로 .zip 파일을 주고받은 기억이 있다ㅎ..
본론으로 와서 깃헙의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.
1. 깃 (Git) 설치하기
먼저 깃헙을 사용하려면 깃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.
Git
git-scm.com
링크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.
(윈도 기준으로) 우측 아래에 Download for Windows을 누르고 설치하면 된다.
2. Git Bash 설정 방법
설치가 다 됐으면 설정을 해야 하는데, 처음에만 하면 된다.
실행하면 이와 같은 화면이 뜬다.
1) 유저 이름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본인 이름"
본인 이름에 영문으로 입력하면 된다.
2) 유저 이메일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
마찬가지로 본인 이메일을 입력하면 되는데
주의할 점은 깃헙 가입할 때 사용한 이메일을 입력해야 한다.
3) 정보 확인
위에 입력한 정보가 성공적으로 됐는지 확인하려면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.
git config --list
이렇게 밑줄 친 부분에 입력한 정보가 있으면 된다.
3. 깃헙 Github에 코드 올리는 방법
우선 코드를 처음으로 올리는 경우와 이미 올린 코드를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.
1) 코드 첫 커밋하기 (처음 올리는 경우)
(Visual Code 기준) 메뉴에 Terminal을 누르고 New Terminal을 누른다.
주의 : bash로 되어있는지 확인
1 - 초기화
git init
* init : initialize의 약자
2 - 파일 추가
git add .
점은 모든 파일을 의미한다. 특정 파일만을 올리고 싶으면 파일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
하지만 되도록 .(점)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
3 - 커밋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꼭 first commit일 필요 없지만 보통 이렇게 쓴다.
* -m : message의 약자
4 - 깃헙 repository에 연결
git remote add origin 본인 깃헙 리포지토리 링크
본인 깃헙 계정의 코드를 올릴 리포지토리에 들어가서 링크 복붙 해야 된다.
+ git remote -v를 사용하여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
5 - 깃헙에 푸쉬하기 (올리기)
git push origin branch이름
2) 코드 커밋하기 (수정하는 경우)
이 세 코드만 반복해서 사용하면 된다.
git add .
git commit -m "커밋 내용"
git push origin branch이름
다음은 깃헙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할게요 :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