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nzee
개발 기록장
minzee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5)
    • 프로젝트 (1)
      • CheriC 체리시 (1)
      • Collec 콜렉 (0)
      • Homemaster 홈마스터 (0)
    • 회고록 (0)
    • CS 공부 (5)
    • 개발 공부 (27)
      • Modern JS Deep Dive (5)
      • JavaScript & TypeScript (3)
      • Next.js (1)
      • React (0)
      • React-Native (0)
      • HTML & CSS (7)
      • Linux (2)
      • Git & GitHub (1)
      • Kotlin (2)
      • Python (3)
      • C++ (2)
    • 코테 공부 (44)
      • BOJ (33)
      • Computer Algorithm (10)
      • Data Structures (1)
    • 활동 (15)
      • 우아한테크코스 7기 FE 프리코스 (4)
      • 원티드 프리온보딩 FE 챌린지 (1)
      • 위니브 엠버서더 3기 (10)
    • 학교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Github
  • Naver Blog
  • Instagram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minzee

개발 기록장

[GITHUB 깃허브] GIT에 익숙해지기 - 깃헙 처음 사용하는 방법
개발 공부/Git & GitHub

[GITHUB 깃허브] GIT에 익숙해지기 - 깃헙 처음 사용하는 방법

2022. 6. 25. 09:30

깃헙 저학년 때 잠깐 사용해 본 적이 있었다. 하지만 그땐 영상이나 블로그들을 보면서 무조건 익혀야 된다고 보고 무작정 사용하였다. 처음이다 보니 뭐가 뭔지도 모르고 무엇보다 프로젝트 경험이 없어서 깃헙이 왜 필요한지를 이해 제대로 못했던 것 같다. 그러다 1학년 여름 방학 때 프로젝트를 해야 해서 깃헙으로 하면 코드 공유나 협업하기 좋다는 게 생각이 나서 사용하려 했으나,, 결국 실패하고 이메일로 .zip 파일을 주고받은 기억이 있다ㅎ.. 

 

본론으로 와서 깃헙의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.


1. 깃 (Git) 설치하기

 

먼저 깃헙을 사용하려면 깃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.

 

https://git-scm.com/

 

Git

 

git-scm.com

 

깃 홈페이지

 

링크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.

(윈도 기준으로) 우측 아래에 Download for Windows을 누르고 설치하면 된다.


2. Git Bash 설정 방법

 

설치가 다 됐으면 설정을 해야 하는데, 처음에만 하면 된다.

 

실행하면 이와 같은 화면이 뜬다.

 

 

1) 유저 이름 설정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본인 이름"

 

본인 이름에 영문으로 입력하면 된다.

 

 

2) 유저 이메일 설정
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

 

마찬가지로 본인 이메일을 입력하면 되는데

주의할 점은 깃헙 가입할 때 사용한 이메일을 입력해야 한다.

 

 

3) 정보 확인

 

위에 입력한 정보가 성공적으로 됐는지 확인하려면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git config --list

 

이렇게 밑줄 친 부분에 입력한 정보가 있으면 된다.

 


3. 깃헙 Github에 코드 올리는 방법

 

우선 코드를 처음으로 올리는 경우와 이미 올린 코드를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.

 

1) 코드 첫 커밋하기 (처음 올리는 경우)

 

(Visual Code 기준) 메뉴에 Terminal을 누르고  New Terminal을 누른다.

주의 : bash로 되어있는지 확인

 

1 -  초기화

git init

 

* init : initialize의 약자

 

 

2 -  파일 추가

git add .

 

점은 모든 파일을 의미한다. 특정 파일만을 올리고 싶으면 파일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

하지만 되도록 .(점)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

 

 

3 - 커밋
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
 

꼭 first commit일 필요 없지만 보통 이렇게 쓴다.

* -m : message의 약자

 

 

4 - 깃헙 repository에 연결

git remote add origin 본인 깃헙 리포지토리 링크

 

본인 깃헙 계정의 코드를 올릴 리포지토리에 들어가서 링크 복붙 해야 된다.

 

 

+ git remote -v를 사용하여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

 

 

5 - 깃헙에 푸쉬하기 (올리기)

git push origin branch이름


2) 코드 커밋하기 (수정하는 경우)

 

이 세 코드만 반복해서 사용하면 된다.

 

git add .
git commit -m "커밋 내용"
git push origin branch이름

다음은 깃헙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할게요 :)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  minzee
    minzee
    🇩🇮🇬🇮🇹🇦🇱 🇲🇪🇩🇮🇦 & 🇸🇴🇫🇹🇼🇦🇷🇪 🇨🇴🇳🇻🇪🇷🇬🇪🇳🇨🇪

    티스토리툴바